2025.06.1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김우중 타계…추징금 17.8조원, 국세·지방세 400억원 미납

창업 36년 만에 재계 2위, 국가예산 4분의 1 규모 초대형 회계사기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사진)이 9일 오후 11시50분 83세로 타계했다.

 

1936년 대구출생인 그는 정경계 최고의 학맥 중 하나였던 경기중, 경기고를 거쳐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졸업 후 6년간 한성실업에서 근무하다 1967년 대우실업을 창업했다. 그의 탁월한 경영능력으로 대우그룹은 창업 32년째인 1998년 기업 자산 기준 재계 2위를 달성했다.

 

그러나 1999년 외환위기 과정에서 21조원의 회계사기가 발각돼 대우그룹은 해체됐다.

 

1999년 당시 국가 GDP가 577조원, 정부예산이 85조원이란 점을 감안하면 국가 GDP의 3.6%, 정부예산의 4분의 1규모의 회계범죄였다.

 

김 전 회장은 5년 8개월간 해외 도피하다 재판 등의 문제로 2005년 귀국했으며, 2006년 11월 서울고법에서 회계 사기, 사기 대출, 재산 국외 도피 혐의로 징역 8년6개월과 약 추징금 17조 9253억원, 벌금 1000만원을 선고, 항소를 포기함에 따라 형이 확정됐다.

 

그러나 선고 직후 건강을 이유로 형 집행정지를 받았고 2007년 12월 31일 대통령 특사로 형이 사면되면서 사실상 수감생활을 하지 않았다.

 

뉴스타파는 지난 2013년 7월, 10월 보도를 통해 김 전 회장의 아들 김선용 씨가 옥포공영이란 회사를 통해 베트남의 호화 골프장인 번찌 골프장을 실소유하고, 방콕은행에 600억원대 비밀 계좌를 은닉했다는 보도를 내놓기도 했다.

 

그는 추징금 가운데 17조8000억원, 양도소득세 등 368억7300만원, 지방세 35억1500만원을 내지 않고 세상을 떠났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