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맑음동두천 11.1℃
기상청 제공

지난해 못 쓴 예산 13조원…본 예산 대비 세수오차율 15%

법인세 33.2조원, 소득세는 14.6조원, 부가가치세 10.4조원 증가
자산거품 꺼지며 양도세‧증권거래세 각각 4.5조, 4조원 감소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정부가 지난해 예산 가운데 다 못 쓴 예산이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정부 예상대로 세금이 걷혔지만, 자산시장 거품이 꺼져가면서 부동산 양도소득세와 증권거래세는 수입을 크게 줄었다.

 

2차 추경을 기준으로 세수추계오차율은 0.2%에 불과했지만 본 예산으로 비교하면 15%나 오차가 났다.

 

기획재정부가 11일 발표한 ‘2022회계연도 총세입·총세출 마감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 총 세입은 573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국세수입은 395조9000억원으로 전년(344조10000억원) 대비 51조9000억원 늘었다.

 

2차 추경 기준 정부 목표치의 99.8%를 달성했으며, 추계오차율은 0.2%에 불과했다. 하지만 2022년 본 예산을 짰을 때를 기준으로 하면 오차율은 15%로 솟구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1월까지 세입이 크게 늘어날 일은 없다고 확언했지만 3월 대선이 끝나자마자 50조원 규모의 초과세입을 인식했다.

 

대통령 인수위는 3월 이같은 기재부 추계를 바탕으로 2차 추경을 할 수 있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본 예산이 통과하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정부 예산을 확대 수정하는 작업(추경, 지출수정)에 대해 재정의 기본을 모르는 행위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 법인세 33.2조원 증가

 

세목별로는 지난해 법인세는 기업 실적이 좋아지면서 2021년 대비 33조2000억원 늘었다.

 

소득세는 14조6000억원, 부가가치세는 10조4000억원 늘었다.

 

소득세는 물가상승분과 고용률이 뒷받침했고, 부가가치세는 고환율로 수입물가가 올라간 영향을 받았다.

 

초저금리로 돈 잔치가 끝나면서 양도소득세는 4조5000억원, 증권거래세는 4조원, 거래세에 부가하는 농어촌특별세는 1조9000억원 줄었다.

 

유류세 인하 정책으로 교통·에너지·환경세도 5조5000억원 줄었다.

 

관세는 환율 영향으로 2조1000억원 늘었다.

 

세외수입은 178조원으로 본예산 대비 1조1000억원 늘었다.

 

 

◇ 예산 불용액 13조…불용률 2.2%

 

지난해 동안 지출 계획 577조7000억원 중 집행한 돈은 559조7000억원으로 예산 계획 가운데 다 쓰지 못한 돈(예산 불용액)은 12조9000억원이었다.

 

불용률 역시 2.2%에 달했다.

 

정부는 지난해 코로나19 대응 사업 예산 일부가 집행되지 않았고, 종합부동산세가 줄어 지자체에 내려보내는 돈이 줄어 불용액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과거와 비교해 지출 규모 자체가 두 배 가까이 늘어난 만큼 불용 규모가 일정 부분 자연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지출 집행 규모로 보면 전년 대비 62조8000억원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일반회계 지출액이 485조원, 특별회계 지출액이 74조7000억원이었고, 예산 집행률은 96.9%(일반회계 97.4%·특별회계 93.6%)로 나타났다.

 

총세입에서 총세출을 뺀 잉여금(세계잉여금)은 14조2000억원이었다.

 

2021년도에서 넘어온 이월액 5조1000억원을 뺀 지난해 순발생한 세계잉여금은 9조1000억원이었다.

 

일반회계 세계잉여금은 6조원, 특별회계 세계잉여금이 3조1000억원에 달했다.

 

정부는 지난해 들어온 돈, 나간 돈을 정리해 국가결산보고서를 작성하고, 감사원 결산 검사를 거친 후 5월 말까지 국회 제출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