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6 (금)

  • 흐림동두천 26.5℃
  • 구름조금강릉 32.2℃
  • 흐림서울 29.3℃
  • 흐림대전 28.9℃
  • 흐림대구 31.0℃
  • 구름많음울산 30.5℃
  • 광주 27.5℃
  • 흐림부산 29.6℃
  • 흐림고창 27.0℃
  • 제주 28.3℃
  • 흐림강화 27.4℃
  • 흐림보은 27.0℃
  • 흐림금산 27.2℃
  • 흐림강진군 26.1℃
  • 구름많음경주시 32.0℃
  • 구름많음거제 28.5℃
기상청 제공

[전문가 칼럼] 아시아의 EU, 아세안(asean)

(조세금융신문=고태진 관세사·경영학 박사) 최근 베트남을 비롯한 아세안 국가들 사이에서 한류와 웰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조류에 흐름을 같이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아이템 중에 ‘김’이 있다.


김은 한국, 중국, 일본 세 나라에서만 상업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한국산 김은 최근 몇 년 사이 기후변화로 제품의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현지에서의 긍정적인 이미지 평가에 힘입어 오히려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호기를 맞아 국내 기업들은 베트남 등 아세안 시장에 집중 공략을 하고자 했으나 가격경쟁력에 있어 일본산 제품에 밀리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를 극복하여 수출에 성공한 지렛대가 바로 ‘한-아세안 FTA’다.


FTA를 활용하기 전의 베트남 김의 관세율은 20%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FTA를 활용한 원산지증명서를 발급하는 순간 0%로 관세가 없어져 버린다. 품질경쟁력에 자신이 있었던 우리 기업은 20%의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되었고 이는 충분히 일본기업을 제압하고도 남는 것이었다.

 

이렇듯 아세안과의 FTA는 우리 기업으로서 매우 큰 경쟁력이자 새로운 기회의 보고로 작동되고 있다.


한-아세안 FTA 발효 10년
지난 6월 1일은 한국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간의 자유무역 협정이 발효된 지 정확히 10년이 되는 날이었다.


1967년 8월 설립된 아세안은 창설 당시 필리핀·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인도네시아·타이 등 5개국으로 시작해 1984년에 브루나이, 1995년 베트남, 1997년 라오스·미얀마, 1999년 캄보 디아가 차례로 가입하면서 현재 10개 회원국이 되었다.


이렇게 이루어진 아세안은 현재 우리나라의 5대 교역시장일 뿐만 아니라 인구 6억3200만명, GDP 2조4000억 달러, GDP 경제성장률 4.7%, 수출입 교역량은 2조2700억 달러의 거대시장이기도 하다. 이렇듯 지표로만 보더라도 그 시장의 잠재성은 실로 어마어마하다.


강산도 변한다는 10년이 흐른 지금 시점에 한-아세안 FTA 를 한번 되짚어 본다는 것은 앞으로의 우리 삶과 경제를 미리 예측해 보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아세안으로의 수출은 FTA 발효 후 연평균 7.5% 증가했다.


이는 대(對) 세계 수출 증가율 3.3%보다 4.2%포인트 높은 것이다. 또한 아세안이 차지하는 수출 비중도 2007년 10.4%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15% 수준까지 높아졌다.


연평균 5.7% 증가된 교역량, 무역수지 20.5% 증가해
반면 아세안으로부터의 수입은 10년간 증감을 반복하면서 연평균 3.3% 증가했다. 이는 대(對) 세계 수입 증가율 1.4%보다 1.9%포인트 높은 수치다. 아세안의 수입 비중도 2007년 9.4%에서 2016년 10.9%로 증가해 한국의 주요 수입 지역으로서 아세안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


이로서 수출과 수입을 합한 전체 교역 증가량은 FTA 발효 후 연평균 5.7%로 대 세계 증가율 2.4%보다 3.3%포인트 높았다.


전체 교역 가운데 아세안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7년 9.9%에서 작년에는 13.2%로 증가했다. 이는 아세안이 중국에 이어 우리의 제2의 교역 지역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앞의 수출과 수입 수치를 보아도 대략 눈치챌 수 있듯이, 대(對) 아세안 무역수지는 FTA 발효 후 흑자 규모가 연평균 20.5% 증가해 지난해에는 302억 달러를 기록했다.


서비스 수지에 있어서도 2012년 이후 흑자로 돌아서 2015년에는 8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결론적으로 지난 10년 동안의 성과는 일단 성공적이라고 자평할 수 있겠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전체 아세안 수출에서 FTA를 활용한 수출의 비율은 52.3%(2016년 기준)로 최근 발효한 FTA를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수치다.

 

반면 수입 활용률은 그나마 나은 73.5%를 기록하였다. 이는 평균 69.6%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다.


아쉬운 FTA 수출 활용률
이런 결과는 아세안 구성 국가는 전반적으로 한국에 비해 FTA 관련 정보 접근성과 이해도가 낙후된 곳이 많다. 심지어 세관 담당 공무원조차도 협정에서 규정한 원산지증명서(FORM AK)를 제출해도 잘못된 정보로 인하여 협정과 다른 이유를 들면서 거절하는 사례가 빈번히 보고되고 있다.

 

또한 수입허가제한, 식품 등 인증의 과도한 절차와 비용 등 비관세장벽으로 인해 수출에 FTA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HS(Harmonized System, 국제통일상품분류제도)도 아세안 담당 공무원의 자의적 해석에 따라 상이한 품목분류의 결과로 우리가 발급한 원산지증명서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 한쪽만 노력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기에 더 답답한 부분이 있다. 또한 개인 기업이 할 수 있는 부분도 많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문제를 인지하고 아세안 개별국가와 해결하여야 한다.


최근 들어 다른 어느 때보다 우리 주위의 열강들은 한국을 배제하고 강하게 밀어붙이는 형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무역 부분에 있어 우리의 가장 큰 시장인 중국과 미국이 ‘사 드’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보호무역을 한층 강화하는 모습이다.


중국과 미국은 교역뿐만 아니라 정치, 외교, 문화 등 다방면으로 의미 있는 국가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그들과의 향후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다할 것이다.

 

그렇지만 경제만 놓고 따져 본다면 이들과의 관계가 좋아질 날만을 기다리고 있을 순 없는 노릇이다. 아세안은 중국, 인도 다음의 인구수를 갖고 있는 거대시장이다. 인구 구성비를 보아도 소비의 중심축인 중산층이 탄탄하고 30세 미만의 젊은 인구가 전체의 63%를 차지하고 있다. 시장성과 생산기지로서 손색이 없는 것이다.

 

아세안은 가히 아시아의 EU로서, 답답한 보호무역의 장막을 거둬낼 새로운 돌파구로써 그 역할을 기대해 보아도 되지 않을까.

 

[프로필]고 태 진
• 관세법인한림(인천) 대표관세사
• 관세청 공익 관세사
• NCS 워킹그룹 심의위원(무역, 유통관리 부문)
• 「원산지실무사」 교재집필 및 출제위원
•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졸업
•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졸업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의사의 꿈을 버리고 인류 최고의 지혜를 만든 사람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의료계의 극심한 반대 속에서도 정부 측의 강행으로 의대증원이 확실시 되어가며 바야흐로 의사 전성시대가 도래되었다. 현재 의대정원 3058명이 5058명으로 대폭 늘어나며 10년 후에는 5만명 이상의 의사가 늘어나게 된 것은 반드시 우리 사회에 포지티브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존재하듯이 이에도 여러 가지 부작용이 도래될 것임은 명확하다. 첫째는, 의사를 목표로 하는 광풍시대가 사회구조를 더욱 불균형으로 만들 것이다. 오로지 계급 최고의 위치에 있는 의사가 되기 위해 본인을 비롯해 부모들이 더 미친듯이 나댈 것은 지금까지의 입시 흐름을 봐서도 틀림없다. 그래서 흔히 회자되는 의대입학을 위한 반수생, N수생의 폭증이 불 보듯 뻔하며 이 수요는 이공계의 우수한 인재를 거의 고갈시켜 국가과학기술발전에 큰 후퇴를 가져올 것이다. SKY대 등의 이공계 우수인재들이 의대입학을 하기 위해 자퇴를 하고 의대입시 전문학원에 몰려드는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것은 현재 바이오, AI, 우주, 반도체 등이 글로벌 산업의 중추로 국가간 초경쟁시대에 거꾸로 가는 현상이고 이는 국가미래에 매우 불안한 느낌을 준
[인터뷰] 창립 50주년 부자(父子) 합동 남서울관세사무소 홍영선 관세사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국내 최초의 부자(父子) 합동 관세사무소인 남서울관세사무소가 지난 5월 12일 하버파크호텔에서 창립 50주년 행사를 열고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했다. 이 자리에는 특히 장시화·이용철·이영희·김용우·이상태·손종운 씨 등 남서울 창업 멤버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현재 남서울관세사무소를 이끄는 홍영선 대표관세사는 이날 기념식에서 인사말을 통해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주년은 관세사회 역사에 커다란 획을 긋는 뜻깊은 기록이자 커다란 귀감이 되었다고 자부합니다. 전·현직 남서울 식구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믿음으로 다져온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합니다”라고 전했다. 기념식에는 이승남 국가원로회의 정책위원 겸 KBS 前 국장도 참석해 “지금까지 믿음으로 50년을 지켜온 만큼 앞으로 100년도 믿음으로, 튼튼하게 성장해 나가는 기업이 될 것”이라며 덕담을 전했다. 남서울관세사무소(옛 남서울통관사)는 국내 첫 지하철(청량리역~서울역)인 1호선이 개통되고, ‘K-푸드’의 대표주자로 세계 60여 개 나라의 과자 시장을 휩쓰는 ‘초코파이’가 탄생하던 해인 1974년 5월 10일 고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