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7.9℃
  • 맑음강릉 6.5℃
기상청 제공

은행

“1년 뒤 집값 떨어질 것”…주택가격전망, 1년9개월만 최저치

한은 ‘2022년 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발표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1년 후 집값이 하락할 것이란 소비자 심리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집값 전망을 나타내는 주택가격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가 1년9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여파로 분석된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월 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 대비 1.3p 하락한 103.1을 기록했다.

 

CCSI는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종합지수로, 기준값인 100보다 높으면 과거 장기 평균치(2003년 1월~2020년 12월)에 비해 낙관점인 것이고, 100보다 낮으면 비관적인 것을 의미한다.

 

앞서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8월(102.4) 이후 9월(103.7), 10월(106.7), 11월(107.6)에 걸쳐 오름세를 보이다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된 12월(103.8)에 전월 대비 하락 전환했다. 이후 올해 1월(104.4) 상승 전환한 뒤 2월(103.1) 들어 다시 소폭 하락했다.

 

이달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한 것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세가 거세지고 이에 따른 방역지침도 강화돼 소비심리가 위축된데 따른 결과다.

 

한은 관계자는 “비자심리지수는 작년 12월 이후 방역조치 강화로 코로나19 위험도가 낮아지면서 올해 1월 소폭 상승했다가 2월에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확진자 폭증으로 재차 1.3p 하락했다. 오미크론 확산세가 워낙 크다보니 소비자심리가 위축됐으며 앞으로도 방역 상황이 가장 큰 변수가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다.

 

현재생활형편CSI(90), 가계수입전망CSI(99), 소비지출전망CSI(110), 현재경기판단CSI(75)가 모두 1p 하락했고, 향후경기전망CSI(91)은 2p 떨어졌다. 생활형편전망CSI(96)만이 전월과 동일했다.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집값 전망인 주택가격전망CSI의 경우 전월 대비 3p 하락한 97을 기록했다.

 

주택가격전망CSI가 100 이하로 떨어진 것도 2020년 5월 이후 1년9개월 만에 처음이다. 집값이 상승할 거라고 응답한 가구수보다 하락할 거라고 응답한 가구수가 더 많았다는 뜻이다.

 

이로써 주택가격전망CSI는 지난해 8월(129) → 9월(128) → 10월(125) → 11월(116) → 12월(107) → 올해 1월(100) → 2월(97)에 걸쳐 6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지난 1년간의 물가상승률에 대한 소비자 인식인 물가인식은 2.8%로 전월에 비해 0.1%p 올랐다. 기대인플레이션율 또한 전월 대비 0.1%p 오른 2.7%를 기록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는 석유류제품(61.0%)이 가장 많이 꼽혔고 다음으로 농축수산물(40.6%), 공공요금(37.5%) 등의 순이었다.

 

황희진 한은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 팀장은 “국제유가 상승과 식재료 등 생활물가가 오르면서 체감물가가 올랐다고 느낀 것 같다”며 “올해 전기료 등 공공요금이 오를 것이라는 우려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